XY 그래프 만들기 기초
- LabVIEW 랩뷰/Labview 랩뷰 강의
- 2021. 1. 14.
이번 시간에는 랩뷰에서 XY 그래프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XY 그래프 프론트 패널에 추가하기
XY 그래프는 프론트 패널의 컨트롤 팔레트에서 Graph - XY Graph를 선택하여 추가할 수 있습니다.
XY 그래프를 추가하고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가 봅시다. Ctrl+H 를 눌러서 도움말(Context Help) 창을 보이게 만든 후, XY 그래프 터미널에 마우스를 올려 놓으면 XY 그래프에 대한 설명이 도움말에 나타납니다. 다른 함수나 VI를 사용할 때에도 도움말을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2. XY 그래프 만들기 (단일 플롯)
단일 플롯(Single Plot)을 만들기 위해서는 x 배열과 y 배열을 클러스터로 묶어서 XY 그래프에 연결하라고 합니다. 상수 배열 두개를 준비해서 클러스터로 묶어 연결해 보겠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프론트 패널에 그래프가 출력됩니다.
그런데 저는 이 기본으로 있는 XY 그래프가 너무 못생겨서 다른 XY 그래프로 만들겠습니다. 아래 XY 그래프는 프론트 패널 컨트롤 팔레트의 Silver - Graph - XY Graph(Silver) 입니다. 이것도 그렇게 이쁘지는 않지만 볼만합니다.
추가한 그래프에서 Plot0를 오른쪽 클릭하여 Common Plots - 위에서 세번째 플롯(선 및 표식이 있는 플롯)을 선택하면 각 포인트를 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그래프 표기 방식이 변경됩니다. 또는 아래처럼 그래프를 오른쪽 클릭하면 나오는 설정(Properties)에서 Plots 탭에 들어가 선의 색, 표식 색 등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3. 여러 플롯 동시에 만들기 (다중플롯)
도움말을 다시 보겠습니다. 다중플롯(Multiplot)은 single plot 여러개를 배열 만들기를 통해 연결하면 됩니다.
다중플롯을 사용하는 데이터는 x 축의 데이터가 서로 다른 두 데이터를 하나의 그래프로 표기한다는 의미입니다. 엑셀에서 보면 아래와 같은 데이터를 그래프1+2 처럼 만든다는 의미입니다.
블록 다이어그램에서 두 데이터를 엑셀 데이터와 동일하게 만들고, 클러스터 묶기를 통해 단일 플롯 데이터를 만든 후 그것을 다시 배열 만들기로 연결해 줍니다.
그래프 설정에 들어가 Plots 탭에서 Plot0를 선택하여 아래와 같이 설정을 변경합니다.
Plot1을 선택하여 아래와 같이 설정을 변경합니다.
XY 그래프에서 플롯 범례의 가장자리에 마우스를 가져다 대고 드래그하면 각 플롯의 범례가 모두 나타납니다.
'LabVIEW 랩뷰 > Labview 랩뷰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텍스트 파일에서 XY 그래프 그리기 (0) | 2021.01.16 |
---|---|
SubVI 란 무엇인가 (0) | 2021.01.15 |
루프와 함께 배열 다루기 (2) | 2021.01.13 |
랩뷰 배열 다루기 (0) | 2021.01.11 |
랩뷰의 루프(Loop) 사용하기 (4) | 2021.01.10 |